프롬프트 문자열: input() 함수의 괄호 안에 입력한 내용을 '프롬프트 문자열'이라고 부르며, 사용자가 입력을 요구하는 내용을 적어야 한다.
문자열 자료형: input() 함수는 사용자가 무엇을 입력하든 결과는 항상 문자열 자료형으로 반환된다.
입력과 변수 대입
변수 대입: input() 함수의 결과 값을 변수에 대입할 수 있다.
문자열 타입: input() 함수로 입력받은 데이터는 항상 문자열 자료형이다.
# 1. 사용자 입력 및 변수 대입
name = input("이름을 적어주세요: ")
print("안녕하세요,", name + "님!")
# 실행 결과
# 이름을 적어주세요: Selena
# 안녕하세요, Selena님!
자료형 변환
숫자로 변환: input() 함수의 결과는 항상 문자열 자료형이므로, 숫자 연산을 위해서는 변환이 필요하다.
정수 변환: int() 함수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할 수 있다.
실수 변환: float() 함수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실수로 변환할 수 있다.
문자열로 변환: str() 함수를 사용하여 다른 자료형을 문자열로 변환할 수 있다.
# 2. 자료형 확인
age = input("나이를 입력해주세요: ")
print("입력된 데이터의 타입:", type(age)) # 항상 문자열로 반환
# 실행 결과
# 나이를 입력해주세요: 25
# 입력된 데이터의 타입: <class 'str'>
# 3. 자료형 변환
num1 = input("숫자 하나를 입력하세요: ")
num2 = input("다른 숫자를 입력하세요: ")
result = int(num1) + int(num2)
print("두 숫자의 합은:", result)
# 실행 결과
# 숫자 하나를 입력하세요: 10
# 다른 숫자를 입력하세요: 20
# 두 숫자의 합은: 30
출력 함수 사용법
출력 함수: print() 함수는 자료형을 출력하는 함수이다.
큰따옴표와 더하기: 큰따옴표로 둘러싸인 문자열은 더하기(+) 연산과 동일하게 작동한다.
콤마 사용: 문자열 사이에 콤마를 사용하면 띄어쓰기가 적용된다.
# 4. 출력 함수 사용법
print("파이썬" + "프로그래밍") # 문자열 더하기
print("파이썬", "프로그래밍") # 콤마로 구분
# 실행 결과
# 파이썬프로그래밍
# 파이썬 프로그래밍
# 포맷팅 출력
name = "Selena"
age = 25
print(f"{name}의 나이는 {age}입니다.")
# 실행 결과
# Selena의 나이는 25입니다.
파일 입출력 기초
파일 열기: 파일을 열 때는 open() 함수를 사용한다.
파일 객체: 파일객체 = open(파일경로, 파일열기모드) 형식으로 사용된다.
파일 열기 모드:
w: 쓰기 모드
a: 추가 모드
r: 읽기 모드
# 5. 파일 입출력 기초
file = open("example.txt", "w") # 파일 열기 (쓰기 모드)
file.write("파이썬 파일 입출력 예시입니다.") # 파일에 쓰기
file.close()
file = open("example.txt", "r") # 파일 열기 (읽기 모드)
content = file.read() # 파일 읽기
print("파일 내용:", content)
file.close()
# 실행 결과
# 파일 내용: 파이썬 파일 입출력 예시입니다.
조건문 기초
if 문: 조건이 참일 경우 실행되는 문장이다.
들여쓰기: if 문에 속한 모든 문장은 반드시 들여쓰기를 해야 한다.
콜론(:): if 조건문 뒤에는 반드시 콜론(:)을 삽입해야 한다.
# 6. 조건문 기초
temperature = 30
if temperature > 25:
print("날씨가 덥습니다.")
else:
print("날씨가 좋습니다.")
# 실행 결과
# 날씨가 덥습니다.
score = int(input("점수를 입력하세요: "))
if score >= 90:
print("A 학점입니다.")
elif score >= 80:
print("B 학점입니다.")
else:
print("C 학점입니다.")
# 실행 결과
# 점수를 입력하세요: 85
# B 학점입니다.
조건문과 반복문
조건문과 반복문: 조건문과 반복문은 프로그래밍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.
반복문 사용: 특정 코드로 반복 작업을 하고 싶을 때 사용된다.
# 7. 반복문 예제
for i in range(3): # for 반복문
print("반복 중:", i)
# 실행 결과
# 반복 중: 0
# 반복 중: 1
# 반복 중: 2
count = 0
while count < 5: # while 반복문
print("현재 카운트:", count)
count += 1
# 실행 결과
# 현재 카운트: 0
# 현재 카운트: 1
# 현재 카운트: 2
# 현재 카운트: 3
# 현재 카운트: 4
함수의 기본 구조
함수 정의: 함수는 def 키워드를 사용하여 정의한다.
입력과 출력: 함수는 [입력 >> 함수 >> 출력] 구조로 작동한다.
매개변수와 인수
매개변수: 함수에 입력으로 전달된 값을 받는 변수이다.
디폴트 매개변수: 매개변수의 값이 입력되지 않으면 디폴트 값으로 자동 입력된다.
가변 매개변수: 원하는 만큼의 인자를 받을 수 있는 함수를 가변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다.
리턴 값과 함수 호출
리턴: 함수를 호출한 곳으로 결과 값을 반환하는 기능이다.
한 개의 리턴 값: 함수는 한 개의 값을 반환할 수 있다.
두 개의 리턴 값: 여러 값을 반환할 수 있으며, 이를 통해 여러 결과를 동시에 받을 수 있다.
# 8. 함수의 기본 구조
def add(x, y):
return x + y
print("3과 5의 합은:", add(3, 5))
# 실행 결과
# 3과 5의 합은: 8